지구와시즈에 대한 설명글입니다.
위성으로 보면, 발전소 건설 과정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아랍에미리트(UAE)의 원자력 발전소, 바라카는 총 4기의 APR-1400 원자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발전 용량은 5,600MW로 UAE 전력의 약 25%를 책임질 수 있습니다.
발전소는 아부다비의 가르비야 지역에 자리 잡고 있어요.
그림1. 아리랑위성 3호(핑크색)와 아리랑위성 3A호(회색) 위성영상
아리랑위성 3호와 3A 위성이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바라카 발전소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어떻게 완성되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위성 해상도는 각각 70cm(아리랑위성 3호)와 55cm(아리랑위성 3A호)로, 멀리서 찍었음에도 불구하고 건물 구조와 공사 진행 상황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답니다.
그림2. 2015년(좌, 아리랑위성 3호)과 2020년(우, 아리랑위성 3A호) 전체 이미지
ENEC(아랍에미리트 원자력공사)는 2009년 12월, 한국전력공사(KEPCO) 주도 컨소시엄에 약 200억 달러 규모로 건설 예약을 발주했고요.
1호기: 2012년 7월 착공
2호기: 2013년 5월 착공
3호기: 2014년 9월 착공
4호기: 2015년 9월 착공
그림3.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건설 시계열 이미지 (위에서 아래로 아리랑위성 3호, 3호, 3A호 이미지 순)
위성영상으로 본 건설 과정
2015년 2월: 1~3호기는 공사중, 4호기는 기초 공사 준비
2018년 5월: 2기 완공, 나머지 2기는 마무리 공사 진행
2020년 3월: 4기 모두 완공
공사 진행 상황을 살펴보면 시간이 흐르면서 발전소가 점점 완성되는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건설 모니터링의 효율성을 잘 보여줍니다.
이 사례를 통해 위성이 주는 힘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대규모 건설 현장을 모니터링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입니다.
넓은 지역에서 장기간 진행되는 공사도, 위성을 활용하면 진척 상황과 완공 시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요.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 과정을 위성으로 따라가다 보면 기술과 시간 그리고 계획이 어떻게 맞물려 큰 프로젝트가 완성되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료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출처: ©KARI, ©SIIS